지속가능경영
ESG 경영 체계
ESG경영체계
ESG 경영목표
티웨이항공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안전을 바탕으로 하는 소비자 중심 경영, 다양성 존중과 사회 공헌, 투명한 지배 구조 구축을 통해 항공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고자 합니다. 티웨이항공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신뢰관계 구축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Leading LCC로 성장할 것입니다.
비전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Leading LCC
전략 방향
-
- 지속 가능한 환경경영 체계 구축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보호 활동 에너지 사용 및 폐기물 배출 저감 활동 전사적 환경경영 정책 수립 및 시행 환경경영 관련 인증 추진
-
- 이해관계자와의 상생 및 신뢰관계 구축
- 지역사회 기여 및 사회 공헌 활동 고객중심의 소비자보호 활동 인재경영 및 직원 복지 제공 상생경영 및 안전 관리체계 구축
-
- 투명한 지배 구조 체계 구축
- 기업지배구조 헌장 수립 이사회 및 산하 위원회의 구성과 활동 내역 공개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에 따른 이사회 운영 준법경영 및 윤리경영 실천
전사 ESG 추진체계
티웨이항공은 대표이사 산하의 ESG 전사 협의체 구성을 통해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ESG 협의체 대표이사 주관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
환경부문 경영본부장 주관
사회부문 전략마케팅담당 주관
지배구조부문 재무본부장 주관
종합통제본부 운항본부 정비본부 객실본부 기내판매담당
안전보안실 경영지원담당 IT담당 화물대외담당
재무담당 감사팀
환경경영
- 환경경영
- 환경관리
- 환경경영실적
환경경영 정책 및 목표
녹색경영 비전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녹색경영을 이끌어 가는 Leading LCC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주요 환경 이슈 관리
방침
온실가스 배출 저감 및
에너지 관리
환경 법규 준수
전사적 차원의 환경 경영
중장기
목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2019년 대비 10% 감축
2030년까지 용수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2019년 대비 10% 이내 증가
세부
전략
- 고효율 항공기 도입
(B737-8/A330-900neo) -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 급유
- 항공기 무게 절감과 경제항로
사용을 통한 효율적인 운항 - 전사 연료관리위원회를 통한 연료절감 과제 이행
- 국내/외 탄소상쇄제도 이행
- 배출권거래제, ICAO CORSIA - 환경관련 인증 취득
- 기타 환경 규제 대응
- 용수사용량 및 폐기물 배출량 모니터링
- 항공기 소음 관리
- 정비 위험물 교육
- 운항승무원 환경경영교육
- 훈련을 통한 환경안전 사고 대비
- 친환경제품 우선 사용
- 임직원이 참여하는 사내 친환경 캠페인 및 환경보호 활동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위험요인 및 기회요인 분석
티웨이항공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상황에서 항공업과 관련된 기후변화 리스크 및 기회 요인을 파악하고, 잠재적 재무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경영전략을 수립합니다.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주요 환경 이슈 관리
재무적
영향
- 위험요인
- 탄소상쇄제도(배출권거래제, CORSIA) 이행 등에 따른 배출권 구매 비용 증가 (CORSIA 배출권 비용 최대 100달러 예상)
- 지속가능항공유(SAF)사용에 따른 비용 발생(한국발 국제선 혼합 급유 1% 의무화 시 약 110억 추가 부담 예상)
- 자연재해로 인한 결항, 비정상
운항에 따른 비용 발생
- 기회요인
- 배출 실적 개선을 통한 잉여
배출권 확보 - 환경경영을 통한 기업 경쟁력
제고 - 고효율 항공기 전환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향상 (기존 모델 대비 연료효율 B737-8 약 20%, A330-900neo 약 25% 개선)
- 위험요인
- 폐기물, 화학물질 취급 법/규제
미준수로 인한 비용 발생 - 화학물질 취급 부주의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처리 비용 발생 및 자산 가치 하락 - 태양광 에너지 등 신재생 에너지 발전 설비로 인한 비용 발생
(상업용 발전 시설 100kw 기준 약 1억7천~2억원 예상)
- 기회요인
-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을 통한
기업 가치 향상 - 친환경 상품 판매 확대를 통해
환경 보호를 중시하는 고객 수요 확보 및 매출 실적 개선 (환경표지 인증 획득 기업 중 약 89%
매출 증가)
대응
전략
- 항공기상 전문가를 배치하여 공항/항로/계절별 기상분석 및 리스크 관리
- 운항승무원에게 난기류, 낙뢰 등 기상 정보 적극 제공
- 지속가능항공유 사용에 따른 배출권 비용 절감
- 탄소배출권 가격 지속적 모니터링
- 국내외 지속가능항공유 규제, 인센티브 모니터링
- 정유사와 MOU 추진
- 온실가스 감축 시설 및 설비 도입
- 화학물질 취급 담당자 정기 교육 및 검사 실시
- 환경 관련 규제 지속적 모니터링
- 사내 지속가능경영 관련 내부 규정 마련
- 환경안전사고 대응 훈련, 교육 강화
- 다양한 카테고리의 비건 상품, 녹색제품 등 기내 판매 상품의 친환경 상품
비중 확대
환경경영 추진 조직
환경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티웨이항공은 환경부문 TFT를 통해 부문별 활동과제의 실천 및 개선활동을 시행하고 있습니다.환경부문
정비본부
연료 효율 개선
정비 폐기물 관리
운항본부 탄소 저감 비행
종합통제본부
연료관리
운항 효율 개선 및 경제 운항
객실본부 친환경 캠페인
경영본부
탄소배출량 보고
환경 경영 전략 수립
녹색 구매
환경경영 활동
티웨이항공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국내외 관련법률, 회사의 환경정책, 국제적 기준에 따라 환경영향을 최소화 하는 활동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탄소 상쇄 제도 이행
- 지속가능항공유 사용
- 운영효율 개선
- 국내외 ESG 협력
- 고효율 항공기 도입
환경관리 주요 활동
B737-8
A330-900neo
기존 동급 대비 연료 소모와 탄소 배출을 약 20% 저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A330-900NEO 도입 계약을 체결하여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5대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A330-900NEO 역시 연료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을 약 25% 감축할 수 있는 친환경 항공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나, 모든 운항승무원에게 지급된 업무용 태블릿을 통해 전자문서화 된 매뉴얼을 활
용하여, 종이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무게를 줄여 보다 효율적으로 운항하고 있
습니다.


템)를 탈착하는 대신 좌석마다 거치대와 전원을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를 증대시키며
항공기당 약 7톤의 무게가 감축 및 연료 효율을 개선하였습니다.
A330항공기는 약 132kg, B737항공기는 약 43kg의 무게를 절감하여 연료효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존 비닐 소재 쇼핑백을 친환경 종이 소재로 대체했으며, 무라벨 생수 제품을
판매하는 등 친환경 제품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림청과 협력하여 한국산림인증(KFCC) 용지를 활용한 기내지를 제작하고 있으며,
산림 경제 활성화 및 임업인 지원을 위해 청정 임산물 상품을 기내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해 상호협력 합니다.
국내 산림 및 생태계 복원 보호작업과 어린이 대상 산불진화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기내에서 친환경 용품사용과 산림경제 활성화를 위한 임산품을 판매하며 취항
지역 산림복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역의 환경을 보호하고 가꾸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취항지 조림 봉사활동, 해양 정화 활동, 산불지 피해 복구 활동, 산불 진화체험 교육 등
다양한 환경 보호 활동을 활발히 시행하며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합니다.
LCC 최초 SAF를 급유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인천발 구마모토 노선에 SAF 1%를 주 1회 급유 중이며,
유럽노선의 경우 EU 규정에 따라, SAF 2%가 혼합된 항공유를 유럽공항에서 급유하고 있습니다.
사내 중고 PC 본체 174대를 기증하여 자원 순환 활동을 이행하였습니다.
환경 영향 저감 활동
- 온실가스 관리(배출권거래제, CORSIA)
- 운항승무원 환경경영 / 환경 규제 교육
- 전자비행정보(EFB) 운영
- 항공기 소음 관리
- 환경정보 공개
- 저탄소 운항절차 이행
- 근거리 교체공항 설정
- 합리적인 추가연료 탑재
- 단축항로 적극활용
- Engine Fan Blade L/E Blending
- 엔진세척
- APU 사용 최소화
- 중량 관리
- 정비 폐기물 처리
- 객실 승무원 환경경영 교육
- Potable water 적정 기준량 모니터링
- 객실 내 친환경 캠페인
- ESG 아이디어 공모전
- 친환경 인증 제품 사용
에너지 사용량 및 탄소배출량 최소화
티웨이항공은 합리적인 추가 연료 탑재, 연료 소모율 관리 등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사업장 범위: 전국 지점
- 3,448 2022
- 2,866 2023
- 2,683 2024
*사업장 범위: 서울 지점(본사)
- 7,432 2022
- 7,709 2023
- 9,357 2024
자비행정보) 활용을 통한 paperless 운영, 친환경 인증 제품 사용 등 다방면에서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범위:
항공유 –국내,국제
지상 부문 연료 사용 - 국내
- 453,833 2022
- 1,109,819 2023
- 1,391,305 2024
*사업장 범위: 전국 지점
- 846 2022
- 955 2022
- 1.376 2024
*사업장 범위: 전국 공항
- 77,877 2022
- 159,352 2023
- 194,375 2024
폐기물 처리체계
티웨이항공은 분리배출 및 재활용으로 자원 순환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법령에 따라 지정폐기물을 관리하고, 일부를 연료, 고형연료 제품 제조 등의 방식으로 재활용하고 있습니다.
- 일반 폐기물
- 지정 폐기물
- 폐기물 재활용량
*사업장 범위: 전국 지점
-
2022
26.4
51.77
17.27
-
2023
31.9
53.6
26.6
-
2024
97
85
168
안전보건경영
- 안전 관리
- 산업안전보건
- 산업안전보건 활동 현황
안전정책
티웨이항공의 안전 정책은 승객, 승무원, 항공기, 시설 등 항공 운항 전반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경영 방침과 철학을 담은 선언문입니다.
연 1회 검토하며 최고경영자의 승인을 거쳐 개정 및 사내에 공지하고 있습니다.

항공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티웨이항공은 안전을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는 최우선 가치라는 일념으로 항공 안전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항공 안전 관리 시스템은 운항, 정비, 객실 등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모든 부문에서 유기적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항공 안전 관리 시스템 Safety Management System
안전정책 및 목표 Safety Policy & Objectives
위험관리 Safety Risk Management
안전 보증 Safety Assurance
안전 증진 Safety Promotion
안전정책 및 목표

설정하여 안전성과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사적인 안전의사 결정기구를 통해 현장에서 식별된 위해 요인의 위험도 경감
등의 안전 현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 안전위원회 / 안전소위원회 / 위해요인 관리그룹
-
- 안전성과 모니터링 및 안전 위험도 경감대책 수립
- 안전현안 논의 및 재정적·인적 지원 여부 의결
안전 위험도 관리
티웨이항공은 종사자 안전보고, 비행자료분석 데이터, 종사자 훈련 결과 등의 안전 데이터에서 식별된 위해 요인은 수용 가능한 수준(Acceptable Level of Safety Performance)으로 경감시키고 있습니다.

인증을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 품질관리 시스템(QMS)과 안전 관리 시스템(SMS)을
유기적으로 운영하여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보증하고 있습니다.

안전 공모전 등을 통해 사내에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안전 문화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 정책
티웨이항공의 최우선 가치는 안전이며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는 책임임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티웨이항공은 안전보건경영방침을 2021년에 수립하였으며, 안전보건 경영 의지를 대내외에 밝히고 관련 정책의 일관성 있는 방향을 제시하
기 위해 ʻ추진 목표 및 전략’을 2024년에 개정했습니다.
개정된 내용은 이사회 보고와 승인을 거쳐 전사에 게시 하고 있으며, 임직원, 협력사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안전보건 경
영의지를 전파하고, 추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안전보건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티웨이항공은 안전보건 경영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임직원 주도의 자기규율 예방 체계활동을 통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안전문화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중대재해 Zero 지속 달성’ 이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언제든지 발생 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재해을 대
비하고, 체계화된 산업안전보건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갖추어 현장중심 위험성평가, 자율보고체계 확립, 안전문화 정착
등 예방 중심의 안전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자기규율 예방 체계 고도 & 중대재해 ZERO 지속 달성
안전보건 통합관리
시스템 정착 및 고도화
현장중심의
위험성평가 실시
근로자 의견 청취를
통한 자율보고체계 확립
지속적 안전보건 캠페인을 통한
안전문화 정착
- 중대재해 위험 리스크 관리체계 마련
- 사업장 유해·위험요인 발생 통계 및 수치화
- 사업장 유관시스템간 정보연계
- 자율기반 위험성평가 체계 구현
- 리스크 파악, 분석, 대책수립 및 개선
- 사업장 유해·위험요인 경향성 분석
- 산업안정보건위원회 및 의견 청취 프로그램 활성화
-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자율보고체계 기준 확립
- 다양한 안전보건 컨텐츠 개발
- 계층별 안전의식 제고
산업안전보건 관리체계
- TOSHA 프로그램
- 위험성 평가
- 산업안전보건
위원회 - 합동·정기·수시
안전보건점검 - 도급사업 협의체
안전보건관리 조직 체계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 안전보건관리(총괄)책임자, 안전·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중대재해처벌법 전담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사내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습니다.
항공부문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 제거 대책 및 통제방안을 마련, 이행하고 노사 뿐만 아닌 협력사와의 정기적인 협업을 통해 무재해·무사고·안전운항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 증진을 위해 사용자위원과 근로자위원으로 구성된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매 분기마다 운영하고 있으며 사업장 내 잠재적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제거 및
개선 방안을 마련·이행하여 회사의 자율 예방 체계 확립을 위한 일련의 활동으로 위험성평가와 TOSHA 프로그램을 매 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력업체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조치를 위해 매 월 도급사업 안전보건협의체를 운영하고, 분기별 회사 경영진과 협력사 경영진 그리고 각 사 근로자와 함께 합동 안전보건점검을
실시하여 협력사에 대한 안전보건에 관한 개선 조치와 지도·조언, 안전정보 제공 활동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사내 각 부문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팀의 현장 정기·수시 안전보건점검 실시와 조직별 자체 고유 안전 활동 등 안전문화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산업재해 관리
티웨이항공은 ‘현장 주도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내실화를 통해 ‘중대재해 ZERO 지속 달성 실현’을 목표로 사업장 사고에 대하여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시행 하고 있으며, 협력사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근로자 재해율의 경우 만인율과 같은 결과 지표 뿐만 아니라 동종업 재해 지표와 비교하며 모니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티웨이항공 산업재해 지표(최근 3년)| 구분 | 지표 | 단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티웨이항공 | 사고사망 만인율 |
‱ | 0.00 | 0.00 | 0.00 |
| 재해율 | % | 0.00 | 0.08 | 0.22 | |
| 동종업 | 사고사망 만인율 |
‱ | 0.20 | 0.25 | 0.27 |
| 재해율 | % | 0.41 | 0.61 | 0.66 |
- 동종업 : 철도ㆍ항공ㆍ창고ㆍ운수관련 서비스업 (2025.05 기준)
안전보건경영 중장기 목표
티웨이항공은 ‘중대재해 Zero 지속 달성’을 최상위 목표로, 자기규율 기반의 예방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2025년부터 3개년에 걸쳐 안전보건 시스템 고도화, 현장 위험성 평가, 자율보고체계 확립,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추진하여, 글로벌 수준의 안전문화를 실현해 나가겠습니다.
| 추진목표 | 자기규율 예방 체계 고도 & 중대재해 ZERO 지속달성 | |||
|---|---|---|---|---|
| 세부목표 | 안전보건 통합관리 시스템 정착 및 고도화 |
현장중심의 위험성평가 실시 | 근로자 의견 청취를 통한 자율보고 체계 확립 |
지속적 안전보건 캠페인을 통한 안전 문화 정착 |
| 추진전략 |
|
|
|
|
| 2025년 |
|
|
|
|
| 2026년 |
|
|
|
|
| 2027년 |
|
|
|
|
| ~ 2030년 | LCC(저비용항공사) 산업안전보건관리 표준모델 정립 | |||
위험성 파악 및 관리 활동
가. 위험성평가 프로세스 티웨이항공은 임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사업장 내 기계기구, 유해물질, 감정노동 등 부상 또는 질병을 야기할 수 있는 잠재된 위험 요인을 발굴 후 허용 불가능한 위험성에 대하여제거 대책 및 통제방안을 마련하며 개선하는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사전준비
- 단계별화살표
- 유해위험요인파악
- 단계별화살표
- 위험성 결정
- 단계별화살표 허용 가능
- 최종 검토 및 결과 기록 공유
- 단계별화살표 허용 불가능
- 단계별화살표
-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자의 역할 및 책임을 정립하고, 모든 구성원이 자연스럽게 안전작업을 이행하는 시스템을 구축 및 주기적인 평가 검토를 거쳐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나. TOSHA 프로그램 프로세스
허용 불가능
유해위험요인 파악
단계별화살표
TOSHA TF 구성
및 교육실시
단계별화살표
- TOSHA 체크리스트 작성
- 사규 내 안전보건대책 관련
조항 적절성 확인 및 위치 표기 - 안전보건대책 관련
Record 자료 확인
- 산업재해 발생 시 행동대응
요령 작성 - 유해위험요인 관련 산업재해
발생 시 행동대응요령
단계별화살표
사규 개정사항 논의
및 추가 수정사항 확인
단계별화살표
사규 제·개정 사항
현장 적용

- 위험성평가표에 개선 전·후 사진을 삽입하도록 하여 어떠한 위험점이 개선되었는지 쉽게 파악 가능
- 위험성평가 수행 부서는 연중 상시로 소속 근로자와 함께 사업장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위험점에 대한 위험성평가 실시 후 그 결과를 상시 산업안전보건팀으로 회신
2) 최근 3년 위험성평가 운영 결과(25년 6월 1일 기준) ※ 저·중·고위험의 건수는 개선조치 후 위험 수준
| 연도 | 저위험 | 중위험 | 고위험 | 위험요인 건수 |
개선조치 건수 |
개선율 |
|---|---|---|---|---|---|---|
| 2023 | 196건 | 7건 | 0건 | 203건 | 203건 | 100% |
| 2024 | 147건 | 5건 | 0건 | 152건 | 152건 | 100% |
| 2025 | 52건 | 0건 | 0건 | 67건 | 67건 | 진행중 |
티웨이항공은 사업장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직업병 및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계획 및 대책 등 안전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분기별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통하여 사용자위원과 근로자위
원이 함께 심의·의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을 통해 실무자 중심의 의견을 청취하며 현장에서 취합된 의견을 수렴하여 제도, 시설 등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마. 자율안전보건체계 정착 및 안전문화 확산 활동 티웨이항공은 사내 각 부문 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팀의 현장 정기·수시 안전보건점검 실시와 조직 별 자체 고유 안전 활동 등 안전문화 활성화를 위
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산재예방 외부 인사 초청 강연
-
전 직원 대상 안전 슬로건 공모전
-
안전의식 강화 캠페인
각 사 근로자와 함께 합동 안전보건점검을 실시하며 협력사에 대한 안전보건에 관한 개선 조치와 지도·조언, 안전정보 제공 활동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기 별 협력업체의 안전보건
체계 및 이행상태 점검으로 조업작업 간 안전한 작업환경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도급사업협의체 (월 1회)
작업장 순회점검 (주 1회) - 적격수급 업체평가
(반기 1회) - 합동안전점검
(분기 1회)
산업안전보건 교육체계 및 교육 현황 (최근 3년)
티웨이항공은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및 안전/보건관리자에게 안전보건관리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2년마다 보수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전 직원을 대상으로 매 분기마다 정기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유해·화학 물질 취급 등 위험 작업을 하고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특별교육 및 MSDS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 대상 및 현황 (산업안전보건법 제 29조 등)
| 교육 과정 | 교육 대상 | 교육 기간(주기) |
|---|---|---|
| 직무교육 | 안전보건관리 책임자로 선임된 자 | 6시간 / 2년 |
| 안전/보건관리자로 선임된 자 | 34시간 / 2년 (보수: 24시간) | |
| 관리감독자 교육 | 관리감독자로 선임된 자 | 16시간 / 년 |
| 채용 시 안전보건교육 | 신규 채용된 직원 | 8시간 / 채용시 |
| 정기 안전보건교교육 | 전 직원 | 6시간 / 반기 (비사무직: 12시간) |
| 특별안전보건교육 | 특별교육 대상 직원 | 16시간 / 채용 시 (단시간 작업: 2시간) |
| MSDS 교육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직원 | 4시간 / 채용 시 |
※ 정기 안전보건교육의 경우 마지막 분기, 반기 수료 인원으로 작성
| 교육 과정 | 교육 대상 | 교육 기간(주기) | 년도(년) | 이수자 수(명) | 이수율(%) |
|---|---|---|---|---|---|
| 직무 교육 | 안전보건관리 책임자로 선임된 자 | 6시간 / 2년 | 2022 | - | - |
| 2023 | 3 | 100 | |||
| 2024 | 1 | 100 | |||
| 안전/보건관리자로 선임된 자 | 34시간 / 2년 (보수: 24시간) | 2022 | 3 | 100 | |
| 2023 | 2 | 100 | |||
| 2024 | 4 | 100 | |||
| 관리감독자 교육 | 관리감독자로 선임된 자 | 16시간 / 년 | 2022 | 30 | 100 |
| 2023 | 33 | 100 | |||
| 2024 | 41 | 100 | |||
| 채용 시 안전보건교육 | 신규 채용된 직원 | 8시간 / 채용 시 | 2022 | 210 | 100 |
| 2023 | 542 | 100 | |||
| 2024 | 940 | 100 | |||
| 정기 안전보건교육 | 전 직원 | 6시간 / 반기 (비사무직: 12시간) | 2022 | 1,766 | 100 |
| 2023 | 2,210 | 100 | |||
| 2024 | 3,073 | 100 | |||
| 특별 안전보건교육 | 특별교육 대상 직원 | 16시간 / 채용 시 (단시간 작업: 2시간) |
2022 | 35 | 100 |
| 2023 | 66 | 100 | |||
| 2024 | 110 | 100 | |||
| MSDS 교육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직원 | 4시간 / 채용 시 | 2022 | 35 | 100 |
| 2023 | 66 | 100 | |||
| 2024 | 110 | 100 |
직원건강 증진활동
| 활동 | 내용 |
|---|---|
| 건강증진 | 금연을 장려하는 문화를 조성하고 그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정기적으로 몸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건강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 건강보호 | 혹서기, 혹한기 옥외근로자 대상으로 온열‧한랭질환 예방 조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 근골격계 유해요인을 정기적으로 발굴하여 부담 작업을 보유한 경우, 손목/어깨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합니다. | |
| 작업 시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물리적·화학적 유해인자를 측정·평가하여 시설, 설비를 개선하는 등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합니다. | |
| 사내 집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직원 대상 독감 예방접종 지원하고 있습니다. | |
| 마음건강 | 직무스트레스 조사를 실시하고 상담이 필요한 임직원이 언제, 어디서든 상담 받을 수 있도록 비대면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항공보건 | 비행 중 기압 차이로 인해 귀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중이염 예방 활동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 태양에 많이 노출되게 되는 운항승무원들을 대상으로 혈액 암 예방을 위해 혈액검사 수치를 추적 관찰하고 있습니다. |
인재경영
- 인재경영
- 인권경영
- 소통경영
직원 다양성 존중
티웨이항공은 채용, 평가, 승진 및 보상 등 인사관리 전반에 있어 임직원의 성별, 국적, 인종, 연령 등의 사유로 근로자를 차별하지 않습니다.모든 근로자를 동등하게 대우하고 있으며 다양성을 존중하는 인사 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임직원 현황
총 직원수는 3,419명이며, 이중 여성근로자의 비율은 전체의 49.9%입니다.※ 202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구분 | 재직자 | 정규직 | 계약직 | 관리자 | 외국인 |
|---|---|---|---|---|---|
| 남 | 1,713 | 1,399 | 314 | 715 | 53 |
| 여 | 1,706 | 1,335 | 371 | 615 | 76 |
| 합계 | 3,419 | 2,734 | 685 | 1,330 | 129 |
| 여성 비율 | 49.9% | 48.9% | 54.1% | 46.2% | 58.9% |
- 자발적 이직 인원은 전체인원의 약 3.7% 입니다. (정년퇴직 등 비자발적 퇴직 제외)
- 관리자 직급 기준 – 운항승무직 : 기장 이상 / 객실승무직 : 사무장 이상 / 일반직, 항공정비직 : 과장 이상
장애인 고용현황 및 고용목표
티웨이항공은 2020년부터 장애인 스포츠단을 창설하여 장애인 체육 활성화와 지원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 직원 대비 장애인 의무 고용률 3.1% 이상 유지하고 있음
| 년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상반기 기준) |
비고 |
|---|---|---|---|---|---|
| 장애인 고용 인원 수 | 26 | 45 | 57 | 60 | 퇴사 인원 감안 |
| 고용 목표 인원 | - | 21 | 21 | 3 | |
| 고용 인원 수 | - | 21 | 16 | 3 |
임직원 복리후생
-
- 항공권 지원
- 우대항공권 제공 (직원 및 배우자의 직계가족) 경조사 항공권 지원 근속연수 비례 퇴직자 항공권 사용 가능
-
- 건강지원
- 정기 건강검진 보건실 운영, 금연클리닉 진행 해외 주재원 보험
-
- 자기개발 지원
- 사내 도서관 운영 사이버 연수원 운영 사내·외 직무교육 지원
-
- 여가 지원
- 취미활동(동호회) 지원 국내외 계약 호텔 직원 할인
-
- 자율성
- 시차 출퇴근제 자율 복장, 두발 자유화
-
- 가족친화 (생활 지원)
- 자녀 학자금 지원 식권 제공, 명절 선물 제공, 사내 카페 운영 우리사주 제도 주거 이전 휴가, 경조사비, 화환, 휴가, 장례용품 지원 어린이집 위탁보육료 지원
임직원 교육체계
티웨이항공은 임직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 신규 입사자에 대한 입사 기본 교육, 각 직무에 대한 단계별 역량 향상 교육, 분야별 역량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기회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
- 계층별 교육 과정
- 신입 입사 교육 경력 입사 교육 리텐션 교육 승격자 교육 팀장 리더십 교육
-
- 직무 전문 교육 과정
- 운항승무원 직무 교육 객실승무원 직무 교육 운항정비사 직무 교육 운항관리사 직무 교육 여객 / 화물 운송 직무 교육 일반직 온보딩 교육 일반직 공통역량 향상 교육
-
- 글로벌 역량 향상 과정
- 해외 지점장 교육 해외지점 직원 역량 향상 교육 외국어 역량 향상 교육
-
- 인권 교육 과정
-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개인정보 보호 교육 교통약자 이동편의 제공 교육 기업윤리 교육 산업안전보건 교육
-
- 기타 교육 과정
- 사내강사 양성 / 향상 교육 면접관 양성 / 향상 교육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지원 항공보안 / 항공안전관리 시스템 교육
교육 훈련 성과
티웨이항공은 임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 사전 안내부터 운영, 성과 평가까지 전 과정을 진단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 교육 종료 후 일정 기간이 지난 시점에도 효과를 점검하여, 교육이 직원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프로그램 개선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구분 | 교육 대상자 | 성과 측정 : 교육 목적에 대한 기대효과 |
|---|---|---|
| 신규입사자 교육 | 895명 | 티웨이항공 신규 입사자들의 소속감과 애사심을 함양하고 회사 적응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4.92점 (5점 만점) |
| 신입사원 온보딩 교육 | 48명 | 항공사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현업 부서 조기 정착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4.90점 (5점 만점) |
| 승격자 교육 | 115명 | 새로운 직위에 대한 역할을 인식하고 각 직위 필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4.72점 (5점 만점) |
| 운항 직무 교육 | 620명 |
회사의 절차, 관련 법규에 대한 기본 지식을 함양하고 항공기 운용에 필요한 지상절차 및 비행 절차와 기술을 훈련하여 안전 운항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 |
| 종합통제 직무 교육 | 60명 | 운항담당자, 위탁조업 종사자들의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
| 객실 직무 교육 | 1,463명 | 기내 안전 보안 및 고객 서비스를 담당하는 객실승무원으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 |
| 정비 직무 교육 | 448명 | 항공기 신뢰성을 관리하고 항공 품질관리 등을 통해 정비사로서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교육 프로그램 |
| 운송 직무 교육 | 276명 | 국내, 외 지점 운영을 담당하는 운송 담당자로서의 역량을 향상키시는 교육 프로그램 |
| 항공 보안 교육 | 전 직원 | 항공업 종사자로서 항공 보안에 관한 적절한 수준의 경각심 및 관련 지식을 보안 규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사 교육 프로그램 |
일반직 신입사원 온보딩 교육 성과
- 4.41 비전 및 가치 이해
- 4.41 소속감 형성
- 4.24 동기부여
- 3.94 직무 수행 자신감
- 4.18 경력개발 경로 설정
- 4.18 입사 초기 전반적 도움 정도
- 4.29 현재 영향력
- 4.76 추천 여부
인권경영 정책
티웨이항공은 국내 근로기준법과 국제노동기구(ILO)에서 정한 규정을 준수하며 인권경영을 지향하고 있습니다.또한 전 임직원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인권 존중을 위해 인권경영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인권경영의 실천 및 인권침해 예방을 위해 교육, 고충처리 등 체계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권경영 추진체계
목표
~ 2026년
2026 ~ 2028년
2029년 ~
추진단계
인권경영 제도화 (기준 및 체계 마련, 실천력 제고)
인권경영 활성화 (인권경영 문화 확산)
인권경영 고도화 (인권경영 선도)
과제
- 인권정책 경영 정책 수립
- 인권정책 추진 체계 및 목표 설정
- 근로자 다양성 관련 정보 공개 강화
- 인권 경영관련 프로그램 및 관리 활동 강화
- 인권 관련 주요 위험 요소 파악
- 인권 위험 완화 조치 수립
- 인권 영향 평가 기획 및 목표 수립
- 인권정책 고도화
- 인권 위험 완화 조치 평가 및 효과성 파악
- 인권 교육 기획 및 진행
인권 교육 및 성과
티웨이항공은 임직원의 윤리의식 함양과 인권보호를 위한 온라인 교육을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구분 | 수료 인원 (2022년) | 수료 인원 (2023년) | 수료 인원 (2024년) |
|---|---|---|---|
| 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 1,865명 | 2,343명 | 3,193명 |
|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 1,865명 | 2,343명 | 3,193명 |
|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 1,865명 | 2,343명 | 3,193명 |
| 개인정보보호 교육 | 1,865명 | 2,326명 | 3,198명 |
| 교통약자 이동 편의 제공 교육 | 790명 | 1,051명 | 1,553명 |
| 기업윤리 교육 | 1,559명 | 2,309명 | 3,196명 |
| 산업안전 보건 교육 | 1,766명 | 2,210명 | 5,877명 ※ 연 2회 실시 |
임직원 인권 침해 예방 활동
-
임직원 인권 보호를 위한 비윤리행위 신고 채널 운영
티웨이항공은 회사의 투명성 제고 및 윤리적인 기업문화 정착을 위하여 임직원의 비윤
리행위에 대한 신고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직원 만족도 진단
티웨이항공은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파악하고, 분야별 개선점을
도출하여 보다 나은 기업문화를 만들기 위한 진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6개 분야 (경영전략, 기업문화, 직무만족, 소통, 인사제도, 조직예절)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직원 만족도 진단 결과 테이블 입니다 구분 단위 2022년 2023년 직원 만족도 진단 점 (5점 만점) 2.97점 3.19점
44문항에 대해 1~5점 척도로 진단 (5점으로 갈수록 높은 만족도)
-
기업 문화 개선 활동 - 사내 캠페인 진행 (카드뉴스 게시)
티웨이항공은 기업문화 관련 주제를 선정하여 카드 뉴스를 격월로 게시함으로써
보다 나은 기업문화 정착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연 6회 진행) - 직원 만족도 진단 기업문화 관련 만족도 2.93점(2022년) → 3.47점(2023년)으로 개선
비윤리행위 신고 전담 채널 운영
티웨이항공은 회사의 투명성 제고 및 윤리적인 기업문화 정착을 위하여 임직원의 비윤리행위에 대한 신고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임직원 및 협력사 직원, 고객은 당사 임직원의 금품등 수수행위,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행위, 회사 기밀 유출 행위, 직장내 괴롭힘 및 성희롱, 기타 부정/비리행위 등에 대한 제보를 할 수 있습니다.
제보는 실명을 원칙으로 하나 제보 내용 등 기타 사유로 인한 익명 제보도 가능하며 비공개 조사를 원칙으로 합니다.
또한 고충상담이나 문의 건에 대해서도 사실관계를 파악 후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상담자에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 신고 및 제보 이메일 주소: baro@twayair.com
비윤리행위 신고 절차
비윤리행위 신고 제보 접수
단계별화살표
사건 조사
단계별화살표
심의 및 조치
- 임직원의 금품 등 수수행위
-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행위
- 회사 기밀 유출 행위
- 직장내 괴롭힘 및 성희롱
- 기타 부정/비리행위 등에 대한 제보
- 신고 내용에 대하여 확인 조사 실시여부 검토
- 조사가 필요한 경우 처리 절차에 따라 조사 실시
- 인사위원회 진행
- 사실관계 확정 및 관련 인사조치 사항 결정
- 재발방지 대책 마련
비윤리행위 신고 처리 현황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접수 건수 | 2건 | 5건 | 9건 |
| 처리 건수 | 2건 | 5건 | 9건 |
| 처리 비율 | 100% | 100% | 100% |
인권 위험 항목 평가
| 인권 리스크 항목 | 이해관계자 | 대응 및 관리 활동 |
|---|---|---|
| 직장 내 괴롭힘 및 성희롱 | 임직원 | 인권경영 정책 수립 및 교육 실시 익명 신고 시스템 운영 |
| 장시간 근로 및 휴식권 침해 | 객실승무원 정비사 운항승무원 |
근무시간 모니터링 및 관리 적정 인력배치 및 스케줄 조정 실시 피로도 관리 프로그램 도입 |
| 협력사 근로자의 노동권 침해 | 협력사 | 협력사 대상 인권 기준 준수 정기적인 협력사 평가 |
| 성별, 연령, 장애 여부에 따른 차별 | 임직원 협력사 |
다양성 존중 문화 조성 공정한 채용 및 승진 제도 운영 |
| 고객 응대로 인한 감정노동 | 객실승무원 고객서비스 및 운송직 |
고객응대근로자 보호조치 시행 감정노동 예방 교육 및 매뉴얼 제공 사내 심리상담 프로그램 운영 고객응대 매뉴얼 개선 |
| 개인정보 보호 | 고객 |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 보안 시스템 점검 임직원 대상 개인정보 교육 실시 |
임직원 소통활동
- 티웨이항공은 형식을 탈피한 보다 자유로운 사내 소통문화를 활성화 하기 위한 임직원 소통 프로그램인 온/오프라인 t’talk을 분기별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상생경영
상생경영
티웨이항공은 고객, 협력사 등 주요 이해관계자와 함께 지속가능한 상생 파트너십을 추구합니다.공정한 거래, 상호 존중, 열린 소통을 바탕으로 건전한 공급망을 구축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동반성장을 통해 더 나은 환경과 사회를 함께 만들어 가겠습니다.
임직원 상생경영
- 임직원 인권 보호를 위해 사내 인권정책과 윤리규범을 준수합니다.- 경력개발과 자기계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해 유연근무제, 육아 지원 제도 등 가족친화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협력사 상생경영
- 협력사에 투명한 대금 지급으로 공정하고 신뢰받는 공급망 문화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협력사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을 지원하며,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동반성장을 도모합니다.
- 우수사원 포상 및 보안 분야 인센티브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십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상생경영
- 지방공항 노선 유치 및 지역 인재 채용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소외계층과 지역주민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전하고 있습니다.
- 취항도시 대상의 산림 조성, 해양 정화 등 친환경 활동을 통해 지역 환경 보호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고객과의 상생경영
- 고객의 선택권과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피드백 반영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고객과의 신뢰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 유소아 동반, 교통약자, 특별 지원이 필요한 고객을 위한 맞춤형 배려 서비스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보호
체계적인 VOC관리 시스템 운영
티웨이항공은 체계적인 VOC관리 시스템을 통해 신속한 고객 응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자세로 고객의 말씀에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 국내외 법규 및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 해결기준에 의거 보상 기준을 마련하고, 홈페이지 항공교통 이용자 피해 구제 절차를 안내하며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항공교통이용자 피해구제 처리 절차

※ 항공사에서 신청 내용에 대한 처리가 곤란하거나 고객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그 신청을 접수 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피해 구제 신청서를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한국소비자원
에 이송하여 처리될 수 있습니다.
고객의소리(VOC) 처리 실적
| 년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VOC처리율 | 97.21% | 96.99% | 98.85% |
대외수상 내역
| 2024.06 | 글로벌경영협회 2024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10년 연속) |
| 2023.05 | 글로벌경영협회 2023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9년 연속) |
| 2022.05 | 글로벌경영협회 2022 GSC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8년 연속) |
| 2021.05 | 글로벌경영협회 2021 GSC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7년 연속) |
| 2021.03 | 한국생산성본부 2021년 1분기 NCSI 국가고객만족도 (항공운수업 저비용항공 부문) 1위 수상 |
| 2020.05 | 글로벌경영협회 2020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6년 연속) |
| 2019.05 | 글로벌경영협회 2019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5년 연속) |
| 2018.05 | 글로벌경영협회 2018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4년 연속) |
| 2017.05 | 글로벌경영협회 2017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3년 연속) |
| 2016.05 | 글로벌경영협회 2016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2년 연속) |
| 2015.05 | 글로벌경영협회 2015 GCSI 글로벌고객만족도 (저비용항공여객운송서비스 부문) 1위 수상 |
사회공헌
소방청 X 티웨이항공 (소방가족과 함께하는 활동)
티웨이항공은 소방청과 함께 [국민 안전 의식 제고] 와 [소방가족 후원] 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소방가족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과 소방관 교류 안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소방관 처우개선의 공로를 인정받아 3년 연속 소방청장 표창과 kbs119상을 수상하였습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해 헌신하는 소방관들의 노력을 응원하고 소방관분들이 겪는 PTSD의 치유와 회복을 돕기위한 티웨이항공의 ESG 캠페인입니다.
- 2023.05 필리핀 보라카이 (15명)
- 2022.05 대한민국 제주도 (20명)
- 2019.09 미국 사이판 (20명)
- 2019.03 베트남 다낭 (14명)
- 2018.02 일본 삿포로 (11명)

‘눈부신 외출’은 국민을 위해 헌신한 순직 소방공무원에 대한 예우를 다하고 유가족에게 위로와 치유의 시간을 전하는 소방청과 티웨이항공의 ESG 프로그램입니다.
- 2025.05 일본 사가/구마모토 (17명)
- 2024.04 일본 사가 (17명)
- 2023.09 대한민국 제주도 (13명)

소방가족 자녀들 대상으로 항공 분야 진로 탐색을 돕고, 함께 하는 안전 의식 제고를 위해 마련한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 소방가족(소방관, 소방가족) 항공운전교육 서비스 제공

- 안전 벽화 그리기 봉사활동 (2019, 2022, 2023, 2024, 2025)
- 소방관 PTSD 심리치료 교육 후원 (2019)
- 강원도 산불지역 조림 봉사 (2021)
- 순직 소방관 명예도로(이병곤길) 기부금 조성 (2021)
- 순직 소방관 유가족 기부금 조성 (2019, 2023)

2019.05 업무협약 체결
- 안전교육 교류 훈련 프로그램 운영
- 소방가족 대상 항공운임 할인 (최대 25%)
- 소방관 비상구좌석 우선 배정
- 소방가족 여행 지원 및 PTSD치료 프로그램 운영
산림청 X 티웨이항공 (함께하는 친환경 활동)
티웨이항공은 산림청과 함께 [탄소 중립 실천] 과 [지속 가능한 발전] 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산림과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후 변화 대응과 취항지역의 산림생태 보전과 복원 그리고 지속 가능발전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협력합니다.

미래 세대 어린이에게 산림 중요성과 산불의 위험성을 교육하며 숲 체험활동을 진행하는 친환경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중앙아시아 알프스라 불리는 키르기스스탄에서 매년 1,000그루의 나무를 심어 연간 12.6톤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천년의 숲을 만들었습니다.
취항지역을 보존하고 가꾸며 지역민들과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내일을 만들고 있습니다.

“푸른 숲, 맑은 하늘 만들기” 실천을 위해서 매년 산림청과 함께 식목일 식재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세이브더칠드런과 함께하는 Give t’ogether 캠페인

기내 모금을 통해 조성된 모금액은 국내 아동 사업 지원, 학교 놀이환경 개선 사업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달력 판매 수입금 기부

달력 판매 수익금은 국내 교육 사각지대에 놓인 아동과 청소년의 새학기 학용품과 생필품, 의류 등 용품 지원 사업에 쓰이고 있습니다.
해양 정화 활동

